gnb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포스트 팬데믹 : 회복 위한 해법 찾기

오전 세션

  • 이주호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교육개혁, 모두를 위한 맞춤교육

    경제학자 출신 교육정책 전문가.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연구위원과 교수, 교육개혁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17대 총선에서 한나라당 비례대표로 출마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고,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 교육과학문화 수석비서관으로 발탁된 데 이어 교육과학기술부 1차관과 장관을 지냈다. 지난해 11월 윤석열 정부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으로 임명됐다.

  • 요아브 니산코헨

    요아브 니산코헨 타워세미컨덕터 창업자

    혁신의 트렌드: 반도체에서 바이오 혁명까지

    이스라엘 반도체 산업의 선구자로 꼽히는 인물. 비휘발성 메모리 과학자로 경력을 쌓아 '타워세미컨덕터'를 창업해 성공적인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이 기업은 지난해 인텔에 54억달러(약 7조335억원)에 인수됐다. 이후 그는 지연 없는 무선 영상 전송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을 창업했고, 2년 동안 대형 벤처캐피털 펀드에서 벤처 파트너로서 후배 창업가들에게 지식과 조언을 전달했다.

  • 수미 테리

    수미 테리 윌슨센터 아시아국장

    북핵 위협: 평가와 제안

    한반도와 동북아시아 분야의 전문가. 미국 정부와 학계, 민간 부문에서 폭넓은 경력을 쌓았다. 한반도 이슈를 포함한 정보, 정책 입안, 학계 등 분야에서 활동했다. 2001년에서 2008년까지 미 중앙정보국(CIA)에서 북한 분석관으로 일했고, 이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한국·일본·오세아니아 담당 국장과 국가정보위원회(NIC) 동아시아 담당관을 지냈다.

  • 박원곤

    박원곤 이화여대 대학원 북한학과 교수

    북핵과 한반도 정세 전망

    북한과 미국, 한미동맹 연구자. 한국국방연구원(KIDA)에서 18년간 연구했다. 현재 대통령 안보실 정책자문위원, 통일부와 국방부의 정책자문위원이다. 동아시아연구원(EAI) 북한연구센터장과 저널 오브 피스 앤드 유니피케이션(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편집장으로도 활동 중이다.

  • 김상배

    김상배 서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중 기술 패권경쟁의 미래 - 미중 디지털 패권경쟁

    국제 정치와 정보기술의 역학관계를 연구하는 학자. 주요 관심 분야는 ‘정보혁명과 네트워크의 세계정치학’의 시각에서 본 권력 변환과 국가 변환, 중견국 외교 등과 관련된 이론적·경험적 이슈들이다. 신흥안보와 사이버 안보, 디지털 경제, 공공외교, 미래전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에서 국제문제연구소장을 겸하고 있다.

  • 최계영

    최계영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선임연구위원

    미중 기술 패권경쟁의 미래 - 미중 기술 패권경쟁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경쟁을 연구한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융합연구실장과 동향연구실장 등을 역임했다. 연구원 최초로 디지털경제 대표 연구자로 선출됐다. 저서로 '차가운 평화의 시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미중 기술패권'이 있다. 중앙일보 차이나랩의 고정 칼럼니스트로 '최계영의 중국 프리즘'을 연재 중이다.

  • 차정미

    차정미 국회미래연구원 국제전략연구센터장

    미중 기술 패권경쟁의 미래

    중국외교안보, 미중 기술패권경쟁 연구자. 중국전문가로 미중 과학기술외교경쟁, 군사혁신경쟁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국회미래연구원 국제전략연구센터장으로 미래 국제질서 전망, 미중 기술패권경쟁의 미래 등 주제의 글로벌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중국연구분과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연구교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선임연구원, 중국사회과학원 방문학자 등을 역임했다.

오후 세션

  • 김형준

    김형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차세대반도체연구소장

    반도체 전쟁 - 국가 전략무기화와 반도체 연구개발 전략

    반도체 박막소재 합성 및 소자 공정 연구자. 20여년 간 다차원의 나노 소재를 이용하여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하고 있으며, 반도체 및 나노소재 관련 국가 R&D 사업 기획에 참여했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나노융합공학과 교수. 과기부 첨단전략기술조정위원회. 두뇌모사 인공지능, 양자, 차세대 메모리와 같은 반도체 미래원천기술 개발을 주도하는 차세대반도체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 김현우

    김현우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 기술기획팀 부사장

    반도체 전쟁 - 인공지능(AI) 시대를 위한 차세대 반도체 기술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의 미래를 기획하는 반도체연구소의 기술기획팀을 이끌고 있다. 1997년 반도체 포토공정 개발을 시작으로 ArF 와 Immersion ArF 기술 개발과 양산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2014년부터는 반도체 연구소 내 소재개발팀장으로서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필요한 전공정 핵심 소재 개발과 양산화를 국내외 소재 회사들과 협력해 성공시켰다. 2020년 반도체 소재 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석탑 산업훈장을 수상했다.

  • 정만기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상근부회장

    글로벌 무역 강국 도전과 과제

    행정고시 27회로 34년간 경제관료로 일한 산업 및 무역정책 전문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산업기반실장, 산업통상기획관, 무역정책관 등 주요 보직을 두루 거친 뒤 대통령실 산업통상자원비서관,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을 지냈다. 이후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 한국산업연합포럼 회장 등을 역임했다.

  • 조동철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

    한국 경제 전망과 개혁 과제

    거시경제·국제금융·경제성장 분야의 전문가. 금융시장뿐 아니라 우리나라 경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오랜 기간 연구했다. 지난해 12월 윤석열 정부의 첫 KDI 원장으로 취임했다. 미국 텍사스 A&M대학교 경제학과 조교수, KDI에서 거시·금융연구부장, 수석 이코노미스트, 교수를 거쳤으며 대통령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및 미래기획위원회 위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 등을 역임했다.

  • 장병탁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

    인공지능(AI)의 미래 - AI와 인간의 공진화(共進化)

    국내 머신러닝 분야의 손꼽히는 전문가. 30년간 인공지능(AI)의 학습 모델을 연구해 왔다. 입력된 데이터를 학습하는 AI를 넘어서서 AI가 데이터를 스스로 만드는 단계를 연구하고 있으며, 다양한 학문과 산업을 AI와 융합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독일 국립정보기술연구소(GMD) 선임연구원과 한국정보과학회 인공지능소사이어티 회장, 서울대 인지과학연구소장 등을 역임했다.

  • 이활석

    이활석 업스테이지 최고기술책임자(CTO)

    인공지능(AI)의 미래 - ChatGPT의 현재와 미래

    인공지능(AI) 기술의 실용화로 기업의 혁신을 설계하는 기술자. 2020년 10월 출범한 업스테이지의 창립멤버. 기업의 문제들 중 AI 기술을 통해 혁신이 가능한 부분을 파악하고 이에 필요한 기본 AI 모델과 시스템 구축을 포함한 컨설팅을 제공한다. 2017년 네이버에 합류해 클로바의 문자인식 기술(OCR)을 비롯한 컴퓨터 비전 기술 전반을 다루는 조직인 비주얼 AI를 이끌었다. 당시 개발된 OCR 기술은 현재 우리은행·신한은행·네이버 등 수십여 개 서비스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