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 강연자
-
랜달 슈라이버 前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프로젝트 2049 연구소 소장)
트럼프 2.0과 중국 그리고 한반도
인도·태평양 안보 전문가. 미국 국방부와 국무부 등에서 폭넓은 국제 안보 문제에 대한 경험을 쌓았다. 해군 정보 장교로 복무한 후, 합참의장 특별 보좌관을 지냈다. 1994년 미 국방부에 입부해 중국군 및 대만군과의 관계를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 1차 북미정상회담 당시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인도·태평양 문제를 담당하는 차관보로 재직했다.
-
김현욱 세종연구소 소장
특별대담
한미동맹과 북미관계, 동아시아 안보 전문가. 국립외교원 교수 및 북미유럽연구부장으로 재직했다. 또한, 2024년도 한국세계지역학회장을 맡고 있다. 현재 통일부 통일미래기획위원회 위원, 한국국제교류재단 비상근이사, 민주평통 상임위원, 합동참모본부 정책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해군사관학교 명예연구위원, KBS 객원해설위원 등을 역임했다. 미국 UC샌디에이고, 조지워싱턴대 등에서 방문교수로 연구했다.
-
왕이웨이 런민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장(시진핑신시대 중국특색사회주의사상연구원 부원장)
시진핑 신시대와 국제관계, 한중관계중국을 대표하는 국제관계 분야의 석학. 중국 상무부 산하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 자문위원회와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산하 공공정책 싱크탱크인 중국경제교류센터(CCIEE)의 이사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학계 입문 전에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중국 유럽연합(EU) 대표부에서 외교관으로 근무했다.
-
트로이 스탠거론 윌슨센터 한국센터장
강대국 경쟁 시대의 한미 협력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의 경제·외교 전문가. 윌슨센터에서 일하기 전에는 미국 한국경제연구소(KEI)에서 수석 이사로 일하면서 연구소의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한반도의 경제 및 외교 정책 문제에 집중했다. 그 전에는 로버트 토리첼리 상원의원 사무실에서 외교와 무역 관련 문제를 다뤘다.
-
박원곤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원장
패널토론
북한과 미국, 한미동맹 전문 연구자. 한국국방연구원(KIDA)에서 18년간 연구했다. 현재 대통령 안보실 정책자문위원, 통일부의 정책자문위원이다. 동아시아연구원(EAI) 북한연구센터장과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장, 저널 오브 피스 앤드 유니피케이션(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편집장으로 활동 중이다.
-
김건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간사(국민의힘)
패널토론
제22대 국회의원(비례대표, 국민의힘)으로 현재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간사 및 국민의힘 국제위원장을 맡고 있다.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차관급), 차관보, 주영국대사 등 요직을 두루 거친 정통 외교관 출신으로, 북핵 문제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등 주요 외교·안보 현안에 깊이 관여해 왔다. 주밴쿠버총영사, 외교부 국제안보대사, 대통령실 외교안보수석실 파견 등 다양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외교무대에서도 활발히 활동해 왔다.
-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
패널토론
북한 문제 전문가로서 지난 20여 년 동안 북한 정치·군사, 한·미 동맹관계, 국가위기관리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실적을 쌓아왔다.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국방연구원 국방현안팀장(2005~2006), 대통령실 위기정보상황팀장(2008), 한국국방연구원 북한연구실장(2009)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수석연구위원)으로 있으면서, 경희대 평화복지대학원 객원교수, 외교부·통일부·국방부 자문위원, 통일부 통일미래기획위원회 정치군사분과위원장, 민주평통 상임위원회 기획조정분과위원장 등을 겸하고 있다.
오후 강연자
-
권남훈 산업연구원 원장
트럼프발 관세전쟁과 한국산업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스탠포드대학교에서 경제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3년부터 2024년까지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기획재정부 중장기전략위원회 위원, 규제개혁위원회 민간위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플랫폼 정책포럼 위원 등으로 활발히 활동했다. 2024년 9월 산업연구원 원장으로 취임했다.
-
서정건 한국정당학회 학회장
토론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텍사스대(오스틴)에서 미국 의회와 외교 정책을 주제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윌밍턴)에서 교수(2007-2012)를 지냈고 현재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우드로우 윌슨 센터 풀브라이트 펠로우(2019)와 미국정치연구회 회장(2020)을 역임했고 2025년 한국정당학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현재 대통령실 국가안보실·국회의장실·외교부·통일부 자문위원이다.
-
임명묵 <K를 생각한다> 작가
토론
90년대생의 시선을 연구하는 청년 논객.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대학원에서 서아시아 현대사를 연구하고 있다. 덩샤오핑 시대에서 시진핑 시대로의 전환을 다룬 <거대한 코끼리 중국의 진실>과 한국 사회 비평서인
, 소련의 해체부터 푸틴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러시아의 변화를 다룬 <러시아는 무엇이 되려 하는가>를 저술했다. 그 외에 조선일보와 서울신문 등에 정기적으로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
석종건 방위사업청 청장
세계 속의 K방산
무기체계 전문가로 1985년 육군사관학교 45기로 입교해 1989년 졸업과 함께 소위로 임관했다. 보병연대장과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본부에서 주요 보직을 역임했다. 2018년 육군 제35보병사단장을 거쳐 2020년 제2신속대응사단 창설준비단장을 맡았다. 이후 2021년부터 합참 전략기획본부 전력기획부장을 역임하며 군 전략 기획 및 전력 증강에 기여했다. 2024년 2월 제13대 방위사업청장으로 임명됐다.
-
신용화 LIG넥스원 미래전장사업본부장(전무)
무인화, 현대전 판도를 바꾸다
25년간 LIG넥스원에서 신사업 발굴 및 무인화 분야 사업을 지속적으로 주도해온 미래전장분야 전문가이다. 장기간에 걸쳐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자율화 무인체계 등 미래전장의 핵심 기술기획과 사업화를 이끌어 왔으며, 국방산업의 전략적 전환과 기술 혁신을 선도해 왔다. 국내 방산 R&D 정책 방향 수립과 관련 폭넓게 참여해왔으며, 방산 무인체계 분야에서는 다수의 민∙군 협력 프로젝트를 기획 및 실행한 경험을 갖고 있다. 미래전장환경에 적합한 차세대 무기체계 개발과 무인화 전략 고도화를 총괄하고 있다.
-
포 쉬에 미국 우주 시스템 사령부 전투통합실 실장(대령)
현실이 된 스타워즈
우주전력 통합 분야의 선도적 전문가. 현재 LA 공군기지에 위치한 우주시스템사령부(SSC) 전투통합실장으로, 미 우주군(USSF) 우주전력 통합을 지원하고 있으며 신규 우주 역량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1995년 공군 ROTC로 임관한 후, 우주작전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실무와 지휘 경험을 쌓았다. 환경위성, 항공기 시험, 국제협력 등 폭넓은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공군특수작전사령부(AFSOC) 및 미 특수전사령부(SOCOM) 우주작전 책임자와 공군 국제협력 부서 주요 보직을 역임했다.
-
천정수 HD현대중공업 특수선사업부 전무(예비역 해군소장)
전쟁의 시대로 회귀와 K-해양방산의 지향점
40여 년에 걸친 해군 및 국방 분야 경력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방위산업에 기여하고 있다. 해군사관학교에서 전자공학 학사(40기)를, 국방대학교에서 국가안보전략학 석사를, 그리고 한국해양대학교에서 해양안보정책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경력으로는 해군 기획관리참모부 전략기획과장 및 과장, 해군 제5전단장, 합참 전략기획처장, 해군 기획관리참모부장, 해군 제1함대사령부 함대사령관, 해본 군수참모부 군수참모부장, 사이버작전사령부 사이버작전사령관을 역임했다.
-
차상균 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초대원장
특이점에 다가온 슈퍼 AI 휴머노이드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기술과 데이터 과학 교육에 선구적인 기여를 한 저명한 교수이자 혁신가, 기업가. 2000년 차 교수는 서울대학교 캠퍼스에서 병렬 인메모리 트랜잭션 엔진 개발사를 창업해 2002년 실리콘밸리로 이전했으며, 이 기업은 2005년 SAP에 인수됐다. 이후 SAP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인 SAP HANA의 공동 수석 아키텍트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2014년 SAP를 떠난 뒤 서울대학교에 빅데이터연구원을 설립하며 데이터 과학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했다. 2020년에는 한국 고등교육의 변화를 위한 노력으로 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을 설립하고 초대 학장으로 2023년까지 재임했다. 공학 분야의 탁월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2년 삼성호암공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그는 국가교육위원회 산하 디지털·AI교육 특별위원회의 위원장으로서, 디지털 및 인공지능 기술을 한국 교육체계에 통합하기 위한 노력을 이끌고 있다.
-
김익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I·로봇연구소장
AI, 휴머노이드 로봇의 새로운 진화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기반 컴퓨터 비전 및 컴퓨터 그래픽스분야 연구자. 2017년 3월부터 2020년 8월까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영상미디어연구단 단장직을 수행했다. 2016년부터 경찰청 과학수사 자문위원을 맡고 있으며, 2019년부터 대통령 경호처 인공지능분야 자문위원을 맡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문위원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까지 연구성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 등 다수의 장관표창을 수상했다, 2020년 석탑 산업유공 훈장을 받았으며, 같은해 국가연구개발사업 100선 융합분야 최우수로 선정됐다. 더불어 2022년에는 한국공학한림원에서 젊은공학인상을 수상했다.
-
엄윤설 에이로봇 대표
K휴머노이드 산업의 도전
로봇을 디자인하고 움직이는 사물을 전시하는 생소한 이름일 수 있는 키네틱 아티스트로 토이로봇을 제작하기도 했다. 로봇공학자 한재권 박사와 2010-2011년 로봇 찰리 프로젝트에서 디자인을 담당했고 지능형 감성로봇 에디를 이용한 전시공연 콘텐츠 제작 경험이 있다. 현재는 에이로봇 대표로 휴머노이드 로봇을 제작하고 있다.
-
백승민 LG전자 로봇선행연구소장
강연